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실업급여 20회 반복 수급… 1억 가까이 받은 사람도?

by 루나엔스텔라 2025. 4. 17.
728x90
반응형

 

실업급여 신청 안내판
실업급여 신청 안내판

 

최근 공개된 고용노동부 자료에 따르면, 실업급여를 20회에 걸쳐 1억원 가까이 받은 사례가 있어 사회적으로 큰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해당 자료는 국민의힘 김승수 의원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내용을 바탕으로 분석된 것으로, 실업급여 제도의 반복 수급과 부정수급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 반복 수급자, 실업급여 수급자의 3명 중 1명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실업급여를 2회 이상 받은 반복 수급자는 2020년 약 42만 명 → 2024년 약 49만 명으로 증가했습니다. 전체 실업급여 수급자 중 반복 수급자의 비율도 24.7% → 28.9%로 상승하며, 실업급여 수급자 3명 중 1명은 반복 수급자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실업급여 수급 ‘최다 기록자’는 얼마를 받았나?

가장 많이 실업급여를 수급한 사람은 무려 20회에 걸쳐 총 9661만원을 수급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는 평균 실업급여 수급액을 훨씬 초과하는 수치로, 제도의 허점을 악용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일고 있습니다.

⚠️ 부정수급 건수와 금액도 꾸준히 증가

더 큰 문제는 부정수급 역시 줄지 않고 있다는 점입니다.

  • 2020년: 24,257건 / 약 237억 원
  • 2024년: 24,447건 / 약 323억 원
  • 최근 5년간 평균 부정수급액: 연간 약 280억 원

이는 단순한 실수나 착오를 넘어, 의도적인 허위 구직활동, 이중소득 은폐 등 악의적 사례가 여전히 존재함을 보여줍니다.

🔧 제도 개선 요구도 커져

김승수 의원은 이에 대해 “실업급여 제도를 구직 지원이 아닌 생계 수당으로 인식하고 악용하는 사례가 많다”고 지적하며, 다음과 같은 제도 개선 방향을 제안했습니다.

  • ✅ 실업급여 수급 횟수 제한
  • ✅ 반복 수급자에 대한 감액 규정 도입
  • ✅ 수급 조건인 기여 기간(현재 180일) 및 기준 기간(현재 18개월) 확대

실제 반복 수급자 중 일부는 일용직 취업과 이직을 반복하며 제도적 맹점을 노리고 수급을 이어가는 사례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당신의 생각은?

실업급여는 사회 안전망으로서 매우 중요한 제도이지만, 반복 수급과 부정수급이 늘어날 경우 보험 재정의 지속 가능성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여러분은 반복 수급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더 강력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보시나요, 아니면 근로 환경의 불안정성을 고려해야 할까요?


✅ 마무리 – 실업급여, 누구를 위한 제도여야 할까?

실업급여는 실직한 국민이 재취업을 준비하는 기간 동안 최소한의 생계를 보장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그러나 최근 통계와 사례는 제도 개선 없이는 도덕적 해이와 재정 악화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건전한 고용보험 제도 운영을 위해선 수급자와 제도 운영자 모두의 책임감 있는 태도가 필요해 보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