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IBK기업은행, 역대 최대 실적에도 불안한 미래… 노사 갈등·소송·배임 악재 겹쳐

by 루나엔스텔라 2025. 1. 31.
728x90
반응형

 

IBK기업은행이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면서도 내부적으로는 노사 갈등, 통상임금 소송 패소, 대규모 배임 사건 등 악재가 겹치면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 기업은행, 사상 최대 실적 전망

📌 2023년 당기순이익 추정치: 2조 6970억 원
📌 총대출액: 300조 원 돌파
📌 IBK금융그룹 총자산: 500조 원 초과
📌 주가 상승으로 시가총액 12조 원 돌파우리금융지주 제치고 시총 순위 36위

기업은행은 지난해 높은 금리 환경 속에서 안정적인 대출 운영과 높은 배당 성향을 바탕으로 사상 최대 순이익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주가가 상승세를 타며 4대 금융지주 중 하나인 우리금융을 제치고 시가총액 36위에 올라선 점도 긍정적인 요소입니다.

그러나 내부적으로는 노조 파업, 법적 분쟁, 배임 사건 등 악재가 쌓이며 기업은행의 미래가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 노사 갈등: 사상 첫 총파업 후 2차 파업 예고

📌 핵심 쟁점
특별성과급 지급 문제
시간 외 근무수당(체불임금) 지급 요구
정부의 총액 인건비 규제 따른 임금 문제

📌 노조 입장
시중은행 대비 30% 낮은 임금 개선 요구
1인당 평균 600만 원 미지급된 시간 외 근무수당 지급 요청
지난해 12월, 기업은행 설립 이후 첫 총파업 단행
2월 추가 총파업 계획 중

📌 기업은행 입장
"공공기관으로서 정부 인건비 지침을 따라야 한다"
"단독으로 특별성과급 지급 결정 불가능"

📌 현재 상황
지난해부터 시작된 임금 및 단체협약 협상이 결렬
고용노동청이 개입할 가능성 높음

노사 갈등이 장기화되면서 내부 분위기가 악화되고 있으며, 노조는 2월 추가 총파업을 예고한 상태입니다.


⚖️ 통상임금 소송 패소… 2000억 원 배상 위기

📌 소송 배경
✔ 2014년 기업은행 직원들, 정기상여금을 통상임금에 포함해야 한다며 소송 제기
✔ 1심: 직원들 승소 → 775억 원 지급 판결
✔ 2심: 기업은행 승소 → 정기상여금 통상임금 미포함 판결
대법원 파기환송 → "2심 판결 법리 오해"

📌 파기환송의 의미
대법원 판결 취지상 직원들의 승소 가능성 높음
기업은행이 배상해야 할 금액, 지연이자 포함 2000억 원 육박

📌 기업은행의 부담 증가
역대 최대 실적에도 법적 배상금으로 인해 실질적인 재무 부담 증가
금융권 내 유사 소송 증가 가능성

기업은행이 이 소송에서 패소할 경우, 향후 금융권 내 다른 은행들에도 유사한 소송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금융업계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240억 원 배임 사건 발생… 내부통제 강화 요구

📌 사건 개요
✔ 기업은행 퇴직 직원과 현직 직원들이 공모
부동산 담보 가치를 부풀려 부당 대출 실행
총 239억 5000만 원 규모의 배임 사고

📌 현재 조사 상황
✔ 기업은행 정기 감사 중 사건 적발 → 금융감독원에 보고
서울 강북지역 여러 지점이 연루된 것으로 파악
✔ 금융감독원, 추가 조사 및 제재 가능성

📌 기업은행 대응
✔ 김성태 기업은행장: "내부통제 시스템 강화를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
"임직원 인식 개선과 내부통제 정착에 힘쓸 것"

📌 금융당국의 압박
✔ 최근 금융당국이 은행권 내부통제 강화를 강조
✔ 기업은행, 배임 사고로 인해 금융당국 제재 가능성

이번 사건은 은행의 신뢰도를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내부통제 시스템의 허점을 노출했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로 평가됩니다.


🔍 IBK기업은행, 해결 과제는?

✅ 1. 노사 갈등 해결
✔ 추가 총파업이 현실화될 경우, 영업 차질 및 고객 신뢰도 하락 가능
✔ 적극적인 협상을 통해 노사 합의점을 찾는 것이 중요

✅ 2. 통상임금 소송 대응
✔ 대법원 판결에 따른 대규모 배상금 지출 대비 필요
✔ 추가적인 법적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전략 수립 필수

✅ 3. 내부통제 시스템 강화
✔ 금융당국의 감독 강화 움직임 속에서 내부 감시 체계 정비 필요
✔ 대규모 배임 사건이 재발하지 않도록 예방 조치 마련


💡 결론: 실적 호조에도 불안 요소 많아

📌 긍정적 요인
역대 최대 실적 전망 (순이익 2조 6970억 원)
주가 상승 → 시총 12조 원 돌파, 우리금융지주 제치고 36위 기록

📌 부정적 요인
노사 갈등 지속 → 2차 총파업 가능성
통상임금 소송 패소 가능성 → 최대 2000억 원 배상 위험
240억 원 배임 사건 → 내부통제 문제로 금융당국 제재 가능성

IBK기업은행은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지만, 내부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습니다.
앞으로 노사 협상, 법적 분쟁 해결, 내부통제 강화 등을 통해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 향후 관전 포인트
2월 노조 총파업 진행 여부
통상임금 소송 최종 판결 결과
배임 사건 관련 금융당국의 제재 여부

 

기업은행이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갈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728x90
반응형